728x90
기획 재정부가 2024년 6월경 개인 투자용 국채를 출시할 예정이에요~
국채는 보통 자산가들이 투자하는 느낌이 많았는데요.
이번에 시행되는 것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소액 투자를 할 수 있어요.
개인 투자용 국채의 조건을 볼까요?
1사람당 계좌 1개를 열 수 있어요.
만기는 10년 또는 20년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요.
매달 10만원에서 ~ 830만원 사이에서 10만원 단위로 입금할 수 있습니다.
공모주처럼 청약을 통해 진행되기에, 원하는 금액만큼 국채를 사지 못할 수도 있어요.
국채가 뭐가 좋을까요?
국채의 가장 큰 장점은 안정성 입니다.
시중 은행에서는 예금자 보험법에 따라 5천만원까지 보장 받을 수 있는데요.
국채의 경우, 나라가 부도나지 않는 한 최대 금액인 2억까지 보장받을 수 있는 셈이에요.
이자율도 좋습니다.
10년이든 20년이든 선택한 상품을 끝까지 가지고 가면, 금리에 대해 복리 이자가 붙어요.
예를 들어 금리를 대략 연 3% 후반대라고 예상하고, 현재 45세인 A씨가 20년 만기로 월 50만원씩 넣는다고 가정해 볼게요.
20년 만기이니까 65세가 되면 끝나죠. 그리고 나면 65세부터 85세 까지 매월 100만원 정도를 받을 수 있어요.
인플레이션이 있다고 해도, 20년 동안 50만원씩 넣은 다음, 그 후 20년 동안 100만원 가량 받을 수 있다면 꽤 괜찮은 조건이죠.
연금이 고갈될지도 모른다고 걱정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도 있겠네요.
세제 혜택이 있어요.
현재 채권은 이자 소득에 대해 연 2천만원 이하는 분리과세 (15.4%), 2천만원 이상은 종합소득을 합산한 과세율 (6~45%) 이 적용되거든요.
지금 소개해 드리는 개인 투자용 국채는 만기시 지급받는 이자 소득을 종합 소득에 포함하지 않고 14% 세율로 분리해서 세금이 부과되요.
좋은 점만 말씀드렸는데, 그렇다면 개인 투자용 국채의 단점은 없을까요?
10년이나 20년, 본인이 정해둔 만기 전에 금액을 찾을 경우, 가입한 지 1년이 지난 이후로 신청할 수 있는데, 그때 이자나 혜택 없이 원금만 찾을 수 있어요. 그러니 만기까지 보유하지 않을 거면 시작하지 않는 게 좋겠죠.
현재로서는 미래에셋증권에서 국채를 살 수 있다고 하나, 2024년 6월이 되면 증권사가 변경되거나 다른 증권사를 통해서도 구매할 수 있을지 모르니 그 때 되어서 다시 알려 드릴게요.
* 이 글은 투자를 돕기 위한 글입니다. 투자에 대한 판단은 본인이 직접 해주세요.
728x90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