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날이 갈수록 금값이 계속 오른다고 하는데, 금 투자에 많이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.
금투자, 누구나 할 수 있을까요?

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다양해요.
금에 투자한다고 생각하면 골드바를 산다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시죠?
간접적으로 투자하는 방법과 직접적으로 투자하는 방법이 있는데, 금은방에 가서 금을 사는 건 직접 투자이죠.
각 방식에 따라 장단점이 있는데, 이제부터 같이 알아보기로 해요.
1. 골드바를 직접 구매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KRX 에 들어가서 금 시세를 보세요. 구매할 여력이 되시는 금 무게를 골라서 믿을 만한 금거래 사이트나 금은방에서 사실 수 있어요.

2024년 1월 5일 현재, 24k 순금이 1g 시장 가격이 86,300원이니까
1돈(3.75g) 기준으로 86,300원 x 3.75g 하면 대략 32~33만원 정도가 됩니다.
금거래소 사이트나 금은방에서 사시면 부가가치세 (10%) 와 기타 수수료(5%) 가 붙어서 실제 사실 때 가격은 36~37만원 정도로 조금 더 비싸질 수 있어요.

한때 금 1돈이 20만원대 라며 비싸다고 했던 기억이 나는데, 지금은 그때에 비해 엄청 올랐네요!
이래서 요즘은 돌 잔치때 돌 반지 많이 주지 않나 봐요. 20만원대 일 때 많이 사둘걸 그랬어요 ^^:
골드바를 직접 구매하시면 보유세와 상속세가 붙지 않아서 유리합니다.
직접 금을 사서 손에 쥐고 있으니, 금에 투자했다는 생각도 제대로 들지요. 다른 사람에게 선물을 할 수도 있고요.
하지만 사 모은 금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장소나 금고가 필요 해요. 골드바를 많이 샀을 경우 무게가 있으니 나중에 이동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.
쉽지 않아도 금 한번 무겁게 가지고 있어봤으면 싶네요 ^^
2. KRX 금시장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어요.
이 방법은 자신이 넉넉하지 않은 소액 투자자들이 시작하기 좋은 방법입니다. 평소 자주 사용하시는 증권사에서 '금 거래 전용 계좌' 를 개설한 후에 국제 금 시세에 따라 금을 주식처럼 샀다 팔았다 하실 수 있어요.
목돈이 생길 때마다 조금씩 금을 모은 후 나중에 100g 이상 모으면 골드바로 바꾸실 수도 있죠.
금을 1g 단위로 거래할 수 있어서 비교적 적은 금액으로 금을 살 수 있고, 증권사 수수료도 0.3% 정도로 저렴한 편이에요.
하지만 모은 금을 골드바로 꺼낼 때는 수수료와 부가가치세 (10%) 를 내야 합니다.
3. 은행에서 금 통장 만들기.
주거래 은행에 방문하셔서 금 통장을 만드신 후 원하는 만큼 돈을 입금하면 국제 금값과 환율에 맞춰서 금이 적립이 됩니다. 나중에 모은 금을 실물 또는 현금으로 찾으실 수 있어요. 다들 은행 거래는 하시니까 가장 간단한 방법이 되겠네요.
0.01g 단위로 투자할 수 있는 만큼, 적은 금액으로 바로 금 투자를 시작하실 수 있죠. 원하실 때 언제든지 입금 출금이 가능하고요.
하지만 세금과 수수료가 많이 나오는 편입니다.
팔았을 때 이익에 대해 배당 소득세 (15.4%) 가 붙고, 금을 사고 팔때 수수료 (1% 정도) 도 내야 합니다.
금을 나중에 실물로 찾을 때는 부가가치세 (10%)와 기타 수수료가 더 붙어요.
금 통장도 엄연히 통장이지만 따로 붙는 이자가 없고, 예금자 보호도 받으실 수 없어요.
4. 금 ETF 매수하기.
은행 금 통장에 붙는 세금 때문에 한숨 쉬셨던 분들~
연금 계좌 (연금 저축과 IRP) 로 금 상장지수펀드(ETF) 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증권사에서 사실 수 있는데요. 연말 정산 세제 혜택 받기 위해 900만원씩 연금 계좌에 입금하시는 분들 많으시죠?
연금계좌로 투자하는 만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
하지만 다른 상품들 처럼 증권사 금 ETF 가 다 좋은 건 아니랍니다.
매매차익에 배당소득세 (15.4%)가 붙고, 보수 수수료와 거래 수수료도 내야 합니다. 다른 상품들과 달리 금을 실물로 받으실 수 없고, 선물 ETF 투자시, 롤오버 비용도 있어요.
롤오버 비용이란,
선물 거래시 만기가 다가오는 상품을 만기가 아직 많이 남아 있는 상품으로 바꿀 때 발생하는 비용을 말합니다.
5. 금 펀드 매수하기.
금 관련된 펀드에 가입하는 방법인데요.
금광을 가진 기업의 주식, 금 관련 상품에 투자하는 펀드를 구매하는 거에요.
금값 외에 환율, 기업의 실적 등 따져야 할 위험 부담이 있어요. 그래서 금 시세와 펀드가 완전 같이 움직이지는 않아요.
금이 오를 때, 회사 실적이 좋으면 금값 상승률 보다 더 많이 오를 수도 있겠지요.
펀드인 만큼 적은 금액으로 시작할 수 있고, 운용 수수료와 배당소득세 (15.4%) 가 붙습니다.

지금은 또 금이 너무 비싸다 싶지만, 세금과 수수료 등을 고려하더라도, 10년 지난 뒤에 돌아보면, 그 때라도 사둘 걸 ~ 하는 마음이 드실지도 몰라요.
각자에게 맞는 방식을 찾으셔서, 금 투자 꼭 성공하세요!
728x90
'Investm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트코인 가상화폐 ETF (0) | 2024.01.11 |
---|---|
디폴트 옵션 (1) | 2024.01.08 |
금리 인상 (1) | 2022.07.07 |
배당금으로 생활하기 (0) | 2022.06.30 |
은에 투자하는 방법 (0) | 2022.06.23 |
댓글